분류 전체보기
-
파이썬으로 구의 겉넓이, 부피 구하는 식 만들기수학시간 파이썬 2024. 3. 6. 21:23
#사용한 기능 더보기 식별자 print() int() * 연산자 # 구의 부피와 겉넓이를 구하는 프로그램 (단, 원주율은 3.14로 계산한다.) 구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할 때 부피 : 43πr3 겉넓이 : 4πr2 더보기 정답 pi = 3.14 r = input("구의 반지름을 입력해주세요: ") print("구의 부피는 {}입니다.".format((4/3)*pi*float(r)**3)) print("구의 겉넓이는 {}입니다.".format(4*pi*float(r)**2)) 다른 정답 #입력 rad = input("구의 반지름을 입력해주세요: ") rad = float(rad) #처리 부피 = (4/3)*pi*(rad**3) 겉넓이 = 4*pi*(rad..
-
파이썬으로 삼각형, 사다리꼴의 넓이 구하는 식 만들기수학시간 파이썬 2024. 3. 6. 21:14
#사용한 기능 더보기 식별자 print() int() * 연산자 # 삼각형 # 밑변의 길이가 b, 높이가 h인 삼각형의 넓이를 s라 할 때, print("삼각형의 넓이") #입력 b = input("밑변의 길이: ") h = input("높이: ") #처리 b = int(b) h = int(h) #출력 s = b*h*(1/2) print(s) #사다리꼴 # 윗변의 길이가 x, 아랫변의 길이가 y, 높이가 hi인 사다리꼴 넓이를 tr이라 할 때, print("사다리꼴의 넓이") #입력 x = input("윗변의 길이: ") y = input("아랫변의 길이: ") hi = input("높이 : ") #처리 tr = (1/2)*(int(x)+int(y))*int(hi) #출력 print(tr)
-
21 - if 조건문 연습study with Q - 파이썬 2024. 3. 4. 21:11
Q. 어떤 정수에서 짝수와 홀수 구분하기 사람의 방식 : 일의 자리가 0,2,4,6,8이면 짝수 / 1,3,5,7,9이면 홀수 #입력 raw = input("정수를 입력해주세요: ") hu = raw[-1] #짝 or 홀 ##짝 if hu == "0" or hu == "2" or hu == "4" or hu == "6" or hu == "8": print("짝수") ##홀 if hu == "1" or hu == "3" or hu == "5" or hu == "7" or hu == "9": print("홀수") ※주의! or 뒤에는 피연산자가 붙어야 하므로 hu == "0" or "2"의 형태로는 쓸 수 없다. 다른 방법 1 더보기 raw2 = input("정수를 입력해주세요: ") an = raw[-1]..
-
20 - if 조건문study with Q - 파이썬 2024. 3. 3. 17:50
#if 조건문 :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, 실행하지 않게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하는 구문. 이렇게 조건을 기반으로 실행의 흐름을 변경하는 것을 조건 분기 라고 함 if 조건: 문장 문장 문장 끝! 들여쓰기를 입력할 때는 tab, shift+tab키를 이용한다. : 조건이 True일 때만 들여쓰기 안쪽의 문장을 실행한다. #예제1 :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가 양수 / 음수 / 0인지 확인하는 프로그램 z = input("판별할 정수를 입력하시오: ") z = int(z) #양수 if z>0 : print("양수") #음수 if z 12 : print("지금은 오후입니다.") if now.hour == 12: print("지금은 정오입니다.") #예제3 : 계절을 구분하는 프로그램 from datetim..
-
19 - 불 연산자, 비교 연산자, 논리 연산자study with Q - 파이썬 2024. 3. 3. 14:52
#Boolean : True(참)과 False(거짓) 값만 가질 수 있다. : '어떤 명제'의 결과가 될 때 의미를 갖는다 #비교 연산자 == 같다 != 다르다 > 크다 >= 크거나 같다 >False print(16!=32) >>>True print(16>32) >>>False print(16>=32) >>>False print(16>>True print(16>>True 한글, 알파벳은 사전순서로 앞에 있는 것이 작은 값을 갖는다. "a"가 "ㄱ"보다 작은 게 true인 걸 보면 알파벳이 더 작나봐 print("가나">>True print("abc">True print("a">>True 변수의 범위도 비교할 수 있다. e = 2.17828 pi = 3.141592 print(2 >Tr..
-
-
17 - 파괴적 연산과 비파괴적 연산study with Q - 파이썬 2024. 2. 26. 21:54
#비파괴적 +(더하기) 연산자는 : 피연산자를 바꾸지 않는다. → 비파괴적 연산자 a = 314 a+10 a*10 a/2 a//4 a**2 a%5 print(a) >>>314 a = "크 라 임 씬 리 턴 즈" a.split() b = "{}만원만 생겼으면 좋겠다" b.format(10) print(a) >>>크 라 임 씬 리 턴 즈 print(b) >>>{}만원만 생겼으면 좋겠다 #파괴적 =(이퀄) 연산자는 : 피연산자를 바꾼다. → 파괴적 연산자 a = 314 a+=10 print(a) >>324 a = 314 +a print(a) >>>638 a = "크 라 임 씬 리 턴 즈" a = a.split() print(a) >>>['크', '라', '임', '씬', '리', '턴', '즈'] #upper..
-
16 - f-문자열study with Q - 파이썬 2024. 2. 22. 19:07
#f-문자열 format() 함수를 더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음 문자열 앞에 f를 붙여서 만든고, 문자열 내부에 표현식을 {}괄호로 감싸서 삽입함 f"문자열{표현식}문자열" 여러줄 문자열에서도 쓸 수 있다. (기억나니? 따옴표 3개로 했던 거) #format() 함수를 f-문자열로 써보자 print("{} + {} = {}".format(x,y,x+y)) >>>2 + 5 = 7 print(f"{x} + {y} = {x+y}") >>>2 + 5 = 7 print() print("{}+{}={}".format(x,y,x+y)) >>>2+5=7 print(f"{x}+{y}={x+y}") >>>2+5=7 print() #f-문자열에 줄바꿈을 넣어보자 print(f"""{x}+{y}={x+y} {x}-{y}={x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