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
-
33 - 딕셔너리 요소 변경 / 추가 / 제거study with Q - 파이썬 2024. 4. 10. 22:04
pro = { "제목" : "우아한 우주", "저자" : "엘라 프랜시스" } #요소의 값을 변경하는 방법 : 걍 다시 넣어주세요 #요소를 추가하는 방법 : 원하는 key와 값을 넣어준다 pro = { "제목" : "우아한 우주", "저자" : "엘라 프랜시스" } #요소 값 변경 pro["저자"] = "엘라 프랜시스 랜더스" #요소 추가 pro["옮긴이"] = "심채경" print(pro) >>> {'제목': '우아한 우주', '저자': '엘라 프랜시스 랜더스', '옮긴이': '심채경'} #요소를 제거하는 방법 :del 키워드를 사용 pro = { "제목" : "우아한 우주", "저자" : "엘라 프랜시스 랜더스", "옮긴이" : "심채경", "가격" : 15800 } del pro["가격"] prin..
-
32- 딕셔너리와 반복문study with Q - 파이썬 2024. 4. 9. 19:32
#어떤 제품을 관리한다고 할때, 리스트를 사용하면 pro = ["초콜릿이 통째로 칙촉", 500, "롯데제과", "과자", "2025.11.13" ] print (pro[3]) >>> 과자 ....그런데 이게 뭐드라 → 요소가 많아지게 되면 뭐가 어떤 값인지 헛갈림 #딕셔너리 ✓ 등장 배경 키: 값이 무엇인지 나타내는 것 값 : 값 이렇게 딕셔너리를 만들어서 product라는 변수에 넣게 되면 제품의 요소에 접근할 때, 대괄호[]를 사용하고 내부에 키를 입력해서 접근 가능. 그리고 나는 #키 : 값 뒤에 쉼표를 넣지 않아서 error 하나 떴음. product = { #키: 값 "제품명": "초콜릿이 통째로 칙촉", "분류":"과자", "유효기간": "2025.11.23" } print(product["..
-
-
30 - 중첩 리스트와 전개 연산자study with Q - 파이썬 2024. 3. 31. 11:14
#n-차원 리스트 1차원 리스트 : [0, 1, 2] 와 같이 한 겹으로 감싸진 리스트 2차원 리스트 : [[0, 1, 2] [3, 4, 5]]와 같이 두 겹으로 감싸진 리스트 ... n차원 리스트 : n겹으로 감싸진 리스트 #그래서 a = [[0, 1, 2], [3, 4, 5], [6, 7]] for i in a: print(i) >>> [0, 1, 2] [3, 4, 5] [6, 7] for i in a: for j in i: print(j) >>> 0 1 2 3 4 5 6 7 순서에 따라 바뀌는거 주의 더보기 a = [[0, 1, 2], [3, 4, 5], [6, 7]] for i in a: print(i) for j in i: print(j) >>> [0, 1, 2] 0 1 2 [3, 4, 5] 3..
-
29- for 반복문과 리스트study with Q - 파이썬 2024. 3. 31. 10:05
#항등원 :임의의 원소에 특정 연산을 했을 때 재귀시키는 원소 e.g. 덧셈 연산의 항등원: 0 / 곱센 연산의 항등원 : 1 #총합과 총곱 a=(a1,a2,a3) 일때, 총합: 모두 더한다 ∑a : a1+a2+a3 총곱: 모두 곱한다 ∏a : a1 xa2 xa3 #for 반복문 : 기본 형태 for 반복자 in 리스트: 코드 #반복자에는 리스트의 요소가 하나하나 들어간다 #반복자에 주로 쓰이는 문자는 i, j, k ,m ,n 그래서 list = [8, 20, 11, 13, 44, 32] for l in list: print(l) >>> 8 20 11 13 44 32 지난주 배운 sort 기능도 잠깐 넣어보지 뭐 더보기 list ..
-
28 - 리스트의 함수study with Q - 파이썬 2024. 3. 27. 22:33
#파괴적 연산과 비파괴적 연산 파괴적 연산 연산 후에 피연산자가 변형되는 것 e.g. 할당 연산자 = 원본이 파괴되기 때문에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지 않음 리스트는 크기가 클 가능성이 높으므로 파괴적 연산을 사용함 비파괴적 연산 연산 후에 피연산자가 변형되지 않는 것 e.g. 연산자 +-*/ 비파괴적 연산은 결과를 저장하기 위해 할당 연산자를 함께 사용해야 함 장점) 원본과 결과가 모두 남기 때문에 안전함 단점) 원본과 결과를 둘 다 남기기 때문에 메모리를 많이 차지함 #요소 추가 : append(), insert(), extend() append(요소) : 리스트 가장 뒤에 요소 추가 l = [1,2,3,4,5] l.append(6) print(l) >>> [1, 2, 3, 4, 5, 6] insert(..
-
어쩌다 어른 김상욱 교수님 - 기하학 원론, 좌표계, 뉴턴수학관련자료 2024. 3. 27. 21:05
물리학 수업이지만 초반은 수학 관련한 영상으로 수학시간에 틀어주기 좋습니다.
-
27 - 수열, 배열, 리스트study with Q - 파이썬 2024. 3. 22. 21:03
#수열 : 수의 나열 a = (1,2,3,4, ...) 항 = 수열의 요소 길이: 수열 요소의 수 유한수열 : 길이가 유한 무한수열 : 길이가 무한 #서수와 기수 서수 : 순서를 나타내는 숫자 기수: 개수를 나타내는 숫자 #배열 : 문자열, 숫자, 불자료형 등의 나열 : (파이썬에서는) 0부터 세는 0-index를 사용 : 길이가 고정되어 있음 #리스트 :배열에 요소 추가/제거 등의 기능을 추가한 것 : 여러 개의 자료형을 쓸 수 있으며 각각의 요소(element)를 대괄호[] 안에 쉼표로 연결해서 생성한다. 리스트도 하나의 자료이기때문에 변수에 넣어서 저장할 수 있음 ‣ 요렇게 list_f = [1, 24, "oreoreo", False] ※ ㄱ기억ㄱ 리스트 기호인 대괄호[] 안에 들어간 숫자를 ..